Path Parameter
1. Path paramete란?
URL 로는 고유한 자원(resource, data)을 지칭 할 수 있다.
- http://haeo2.tistory.com
- http://naver.com/products
등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특정 자원을 지칭한다.
하지만 게시물이 여러개가 있다면 게시물의 자원 가변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를 표현할 수 있는 파라미터가 필요하다
- http://naver.com/products/1
등으로 가리키는 특정 리소스가 변경될 수 있다. 이를 변수로 지정해 둘 수 있다. 이 가변적인 변수의 이름을 Path Parameter라고 부른다.
백엔드 서버에서는 http://naver.com/products/:id와 같은 형태로 라우팅 할 수 있다.
변수로 지정하더라도 특정 리소스를 가리키는 URI로서의 역할은 변하지 않는다.
아래에서 제품 데이터를 목록으로 호출 했을 때와, Path parameter를 이용해 한 가지의 제품에 대한 데이터만을 호출 했을 때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. 두 url은 제품 정보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, 엄연히 서로 다른 정보를 요청하는 서로 다른 API이다.
- 제품의 목록 데이터 : products 라는 리소스에 접근. 제품의 전체 목록을 나타냄.
- 제품의 상세 데이터 : procuts/1 라는 1번 리소스에 접근. 1번 제품에 대한 정보만을 나타냄.
게시판을 post 하는 api 테스트는 성공하였으나, 수정하는 부분에서 400 Bad request 에러가 계속 뜬다.
이 둘의 차이는 path parameter밖에 없는데,
HTTP 400 에러는 파라미터 값이 잘못 되었을 때 자주 발생한다고 한다.
해결하면 다시 블로그를 작성할 것.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rror: React Hook useEffect has missing dependencies:...Either include them or remove the dependency array (0) | 2024.08.19 |
---|---|
React: [Error] Firebase 사용자 photoURL (0) | 2024.01.19 |
node_modules (npm)과 Yarn Berry (0) | 2023.10.30 |
React : Refresh Token &Access Token& Cookie(브라우저 저장소) (1) | 2023.10.08 |
OAuth 2.0(생활코딩) 개념 (0) | 2023.09.23 |